CHOSUN

흰쥐 관류부신수질에서 카테콜아민분비에 대한 진세노사이드-Rg2의 억제작용

Metadata Downloads
Author(s)
하강수
Issued Date
2016
Abstract
흰쥐 관류부신에서 카테콜아민분비에 대한
Ginsenoside-Rg2의 억제작용

하 강 수
지도교수 : 김 상 훈
조선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최근 임등(2014)은 흰쥐 적출 관류부신수질에서 panaxadiol계 사포닌 Ginsenoside-Rb2가 카테콜아민(CA) 분비를 억제한다고 발표하였으며, 더욱이, 총인삼사포닌은 흰쥐 (Hong등, 1999) 및 자연발증고혈압쥐(SHRs) (Jang등, 2011)의 적출관류부신에서 역시 카테콜아민 분비를 억제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에서 panaxadiol계 사포닌 (Lim등, 1988)이 토끼 적출 관류부신에서, 그리고 최근에 고려인삼에서 분리한 Gintonin (Na등, 2016)이 흰쥐 관류 부신수질에서 카테콜아민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홍삼에서 분리한 panaxatriol계 사포닌의 주요성분인 Ginsenoside-Rg2가 흰쥐에서 분리 적출한 부신의 관류모델에서 CA유리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코자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Ginsenoside-Rg2 (3~30 µM)를 부신정맥 내로 90분간 관류시 아세틸콜린 (5.32 mM, ACh) 에 의한 CA 분비작용을 비교적 용량 및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Ginsenoside-Rg2 (10 µM)존재하에서 DMPP (선택성 니코틴수용체 작용제), McN-A-343 (100 µM, 선택성 무스카린 M1수용체 작용제) 및 angiotesin II (Ang II, 100 ηM) 에 의한 CA 분비반응이 시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러나, Ginsenoside-Rg2 자체는 기초 CA 유리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Ginsenoside-Rg2 (10 µM)존재 하에서, 직접 막탈분극제인 고칼륨 (56 mM), 선택성 전압의존적 나트륨통로 활성화제, veratridine (50 µM), 전압의존적 L형 dihyropyridine계 칼슘통로 활성화제, Bay-K-8644 (10 µM) 및 세포질 내 내형질세망막에서 Ca2+-ATPase 억제제, cyclopiazonic acid (10 µM)에 의한 CA 분비반응이 역시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Ginsenoside-Rg2 (10 µM)와 L-NAME (30 µM, NO Synthase 억제제)를 90분간 동시 처치하는 동안 ACh, DMPP, McN-A-343, Ang II, high K+, Bay-K-8644, veratridine 및 cyclopiazonic acid에 의한 CA 분비효과가 Ginsenoside-Rg2 (10 µM)단독처치 시의 억제효과와 비교하여 거의 상응하는 대조치의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또한 실제로 NO 유리량이 Ginsenoside-Rg2 (10 µM) 관류 후에 기초 유리량에 비교하여 뚜렷이 상승하였다. 또한, Ginsenoside-Rg2 (10 µM)과 fimasartan (15 µM, Ang II AT1 수용체차단제)을 동시 처치하였을 때 ACh의 CA 분비에 대한 억제작용이 fimasartan (15 µM) 단독처치 시의 억제효과에 비교하여 현저히 증강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Ginsenoside-Rg2는 흰쥐 적출 부신수질의 관류모델에서 콜린수용체(니코틴 및 무스카린 수용체) 및 안지오텐신 AT1 수용체 활성화에 의한 CA 분비작용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Ginsenoside-Rg2의 억제작용은 흰쥐 부신에서 NO Synthase의 활성화에 의한 NO 생산상승으로 인하여 부신수질크롬친화세포 내로 나트륨 및 칼슘통로를 통한 이들의 유입억제와 세포 내 칼슘저장고로부터 칼슘유리의 억제작용에 기인되며, 이는 니코틴수용체 및 안지오텐신 AT1 수용체 차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Ginsenoside-Rg2와 fimasartan병용투여 시 CA분비억제작용이 증강되는 점은 고혈압 및 협심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 치료에 임상적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ernative Title
Inhibitory Effects of Ginsenoside-Rg2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Alternative Author(s)
Ha, Kang Su
Affili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일반대학원 의학과
Advisor
김상훈
Awarded Date
2017-02
Table Of Contents
CONTENTS

KOREAN ABSTRACT---------------------------------------------------------------------i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3
Experimental procedure ---------------------------------------------------------------------------3
Isolation of adrenal glands -------------------------------------------------------------------------3
Perfusion of adrenal gland ------------------------------------------------------------------------4
Drug administration ----------------------------------------------------------------------------------4
Collection of perfusate ------------------------------------------------------------------------------5
Measurement of catecholamines ----------------------------------------------------------------5
Measurement of NO release -----------------------------------------------------------------------6
Statistical analysis ------------------------------------------------------------------------------------6
Drugs and their sources -----------------------------------------------------------------------------6

III. RESULTS -------------------------------------------------------------------------------------8
Effects of Ginsenoside-Rg2 on the CA secretion induced by ACh, DMPP, McN-A-343 and angiotensin II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8
Effects of Ginsenoside-Rg2 on the CA secretion induced by high K+, Bay-K-8644, cyclopiazonic acid and veratridine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12
Influence of Ginsenoside-Rg2 plus L-NAME on CA secretion induced by ACh, DMPP, McN-A-343, Angiotensin II, High K+, Bay-K-8644, Cyclopiazonic acid and Veratridine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18
Influence of Ginsenoside-Rg2 on the level of nitric oxide in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28
Combined Effects of Ginsenoside-Rg2 and fimasartan on ACh-induced CA release in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29

IV. DISCUSSION ----------------------------------------------------------------------------31

V. SUMMARY ----------------------------------------------------------------------------------38

REFERENCES --------------------------------------------------------------------------------40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하강수. (2016). 흰쥐 관류부신수질에서 카테콜아민분비에 대한 진세노사이드-Rg2의 억제작용.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323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6247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7-02-21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