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Anatomic evaluation of the retromolar canal by histologic and radiologic analyses

Metadata Downloads
Author(s)
강한수
Issued Date
2016
Keyword
어금니뒤관, 전산화단층촬영, 조직학적 구성, 어금니뒤삼각
Abstract
어금니뒤삼각은 임상에서 매복 셋째큰어금니의 발치, 뼈이식술의 제공 부위, 임플란트 시술, 및 시상골절단술 등의 외과적 시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턱뼈관에서 일어나는 어금니뒤관은 셋째어금니의 뒤쪽으로 주행하여 어금니뒤삼각 부위의 이틀뼈 표면에서 어금니뒤구멍을 통해 열린다. 이러한 어금니뒤구멍의 발현 빈도는 인종과 연구방법에 따라 7.7%에서 75%로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및 방사선학적 접근을 통하여 어금니뒤관의 형태와 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여, 임상의들의 수술 전 초기 평가에 유용한 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한 환자 72명에서 얻은 144쪽의 영상과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 기증된 시신 11구에서 얻어진 22쪽의 아래턱뼈를 사용하였다. 어금니뒤관의 위치를 포함한 형태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얻어진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발현, 경로, 열리는 구멍 위치, 및 둘째큰어금니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아래턱뼈는 통상적인 조직처리 방법을 거쳐 염색을 시행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어금니뒤관의 면적을 포함한 조직학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 어금니뒤관은 26.4%의 38쪽(개개인 평가에서는 43.1%의 31명)에서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턱뼈관으로부터 수직으로 주행하여 어금니뒤삼각의 중간 부분에서 어금니뒤구멍으로 열렸다. 어금니뒤관은 조직학적 표본에서도 27.3%(6쪽)의 유사한 발현 빈도로 나타났다. 최대 수평 및 수직 직경은 평균 0.82, 0.90mm로 수직으로 긴 타원의 형태를 보였다. 어금니뒤관의 신경혈관다발, 및 다발 안의 동맥과 신경의 평균 면적은 순서대로 0.590±0.415, 0.072±0.060, and 0.045±0.049mm2 이었다.
본 연구 결과 어금니뒤관은 환자 개개인의 평가에서 43.1%의 매우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그 안에 비교적 더 큰 동맥과 신경을 둘 다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임상의들은 어금니뒤삼각 부위에서 외과적 시술시 신경손상뿐만 아니라, 출혈성 손상에 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겠다.
Alternative Title
조직 및 방사선학적 접근을 통한 어금니뒤관의 해부학적 평가
Alternative Author(s)
Kang, han soo
Department
일반대학원 치의학과
Advisor
김흥중
Awarded Date
2016-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in KOREAN .........................................ⅱ

I. INTRODUCTION ..................................................1

II. MATERIALS AND METHODS ...............................3

Ⅲ. RESULTS .........................................................5

Ⅳ. DISCUSSION ....................................................6

Ⅴ. REFERENCES .................................................10

Ⅵ. FIGURES ........................................................13

Ⅶ. TABLES .........................................................17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강한수. (2016). Anatomic evaluation of the retromolar canal by histologic and radiologic analyses.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842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5594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6-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