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Metadata Downloads
Author(s)
배숙경
Issued Date
2015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ADHD 성향 아동에게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상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1에서는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 II 에서는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 목표와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lternative Title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the Anthroposophy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Reduction of Inattention and Hyperactive-Impulsivity of ADHD Tendency Children
Alternative Author(s)
Bae Suk Kyung
Affiliation
조선대학교
Department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택호 교수님
Awarded Date
2015-08
Table Of Contents
ABSTRACT

I.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 연구문제
C. 용어정의

II. 이론적 배경
A. 인지학
1. 인지학의 성립배경
2. 인지학의 개념
B. ADHD 아동
1. ADHD 아동의 정의 및 진단
2. ADHD 아동의 특성
3. 인지학에서 ADHD 아동의 관점
C. 창의성
1. 창의성의 개념
2. ADHD 아동의 창의성
D.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1. 인지학 미술치료
2. 집단미술치료
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원리
4.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특성
5. 인지학 집단미술치료의 형태와 기법
E. 연구의 모형

III. 연구 I: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A. 연구목적
B. 연구절차
C. 프로그램 개발모형
D. 프로그램 개발절차
1. 단계 1: 예비프로그램 목표수립
2. 단계 2: 예비프로그램의 구성
3. 단계 3: 예비 프로그램 연구 및 장기적 효과 제고노력
4. 단계 4: 본 프로그램 개발

IV. 연구 II: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검증
A. 연구목적
B. 연구가설
C.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의 윤리적 고려
3. 연구도구
4. 실험설계
5. 연구절차
6. 자료분석
D. 연구결과
1. 기술 통계치
2. 사전 동징성 검증
3.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4.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증상에 미치는 효과
E. 질적 내용분석 연구결과
1. 참여 관찰 평가와 분석
2. 관찰 행동 기록 분석
3. 작품 분석

V. 논의 및 결론
A. 논의
1. 연구 I: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2. 연구 II: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효과 검증
B.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부록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Citation
배숙경. (2015). ADHD 성향 아동의 창의성 증가와 부주의성 및 과잉행동충동성 감소를 위한 인지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45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928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5-08-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