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중국소비자의 한국스마트폰에 대한 지각된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전수빈
Issued Date
2014
Abstract
ABSTRACT

Tian Shubin
Advisor: Lee Jeho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phone, the unexpected hot reaction observed in the related market surprised the exist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manufacturing companies. A big change is expected in the existing orderly market which was built solidly so far. It is very clear that such impact will be deep and wide spread even considering the diffusion rate of smart phone. The proliferation of smart phones will show different impact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area of the individuals or compan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in the user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repurchasing the smart phone smart phone. The research that which factors affect the users' selecting the smart phone will be helpful for the network service providers, mobile device manufacturer and even the software developer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satisfaction of the smart phone industry and derived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satisfaction and the re-purchase. Also, we examined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existing research model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n this paper, we did a empirical study using survey focused on the China's smart phone active users.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19 program was used for the following statistical techniques. The results of analysis conduct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shows that smart phone user's satisfaction is much related to the intention of re-purchase. In detail, Perceived cost will affect to the user experience positively (+). The application the user satisfaction positively (+). Functional properties will affect on the user experience positively (+). User satisfaction will affect on there-purchase of smart phone positively (+). Based on the four accepted hypotheses, we could conclude that the adoption of the perceived cost of the actual phone, applications, and functional properties and ultimately affects user's satisfaction and re-buying. This results give some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companies who are driving smart phone market in China.|
2014년 이르기까지 전 세계 스마트 폰 사용자 수가 10억 명을 넘어섰다. 이 연구는 스마트 폰의 특성 중 지각된 비용, 기능적 속성,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사회적 영향력 및 사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스마트 폰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스마트 폰의 특성은 스마트 폰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가설 설정하여 사용자 혁신성은 독립변수가 되고 모형 설치하였다. 스마트 폰은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유비 쿼터스 환경과 서로 다른 기술이나 서비스와 융합이 이뤄지는 컨버전스의 중심에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의 수용의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스마트 폰의 방향성 예측과 스마트 폰 서비스를 활용한 마케팅 방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는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스마트 폰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스마트 폰의 특성 및 사용자의 혁신성을 독립변수로서 고려하여 스마트 폰 수용의도를 종속변수로서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스마트 폰의 특성 요인으로는 스마트 폰의 특성 지각된 비용, 기능적 속성,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사회적 영향력 및 사용자의 만족도을 설정하였으며, 수용자의 혁신성 요인으로는 혁신성 설정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연구 모형에 따른 여러 가지 연구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정할 예정하다. 수집한 자료의 데이터의 실증 분석은 SPSS 20.0통계 패키지를 사용하고 선정하는 표본의 특성을 살펴보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나타날 것이고 단순한 빈도 분석을 실시한다. 스마트 폰 수용의도의 신뢰성 분석을 위하여 각 요인의 Cronbachsa계수를 산출하여 사용한다.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 분석을 하고 가설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회귀분석 모형분석을 이용해서 가설을 검증을 실시한다. 전체모형에 대한 검증결과는 스마트 폰의 특성 요인 중 이동성과 보안성, 즉시 접수성, 편리성 및 사용자의 혁신성이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percepti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Korea smart phone of the Chinese consumer
Alternative Author(s)
Tian, Shu Bin
Department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이제홍
Table Of Contents
국문요지 1
ABSTRACT 2

제 1 장 서론 4
제1절 연구의 배경 4
제2절 연구의 목적 7
제3절 연구의 구성 8
제4절 연구의 방법 9


제 2 장 이론적 연구 10
제1절 스마트폰 현황 및 스마트폰 개요 10
1. 스마트폰의 개념 10
2. 스마트폰의 특성 12
제2절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현황 27
제3절 중국스마트폰 현황 32
제4절 한국스마트폰 현황 37
제5절 스마트폰 사용자의 개인 특성 41

제 3 장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43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43
제2절 주요변수의 측정을 위한 조작적 정의 45
1. 스마트폰 특성에 관한 가설의 설정 45
2. 스마트폰 특성에 관한 변수의 조작적 정의 50

제 4 장 연구방법 및 실증분석 56
제1절 설문지 구성 및 자료수집 방법 56
제2절 실증분석 57
제3절 연구가설 검증 63

제 5 장 결론 66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66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69
Degree
Maste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전수빈. (2014). 중국소비자의 한국스마트폰에 대한 지각된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2134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816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3. Theses(Master)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5-02-25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