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SUN

ERP유형과 도입기간이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조유근
Issued Date
2013
Abstract
본 연구는 유가증권협회 등록 및 코스닥협회 등록 기업들 중 (주)더존 ERP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ERP 유형 및 사용 기간 등에 따른 기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ERP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2000년대 초 시기를 기준으로 ERP 도입 및 구축 기업의 표본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들임에 비해 본 연구는 2012년 말 기준까지 (주)더존에서 출시하고 있는 ERP 제품군을 도입 및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는 기업 표본을 대상으로, 또한 유형별 ERP 도입효과를 분석함으로서 본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관련 선행연구와 (주)더존의 내부 자료, DATA GUIDE자료 및 NICE평가정보의 KIS-VALUE자료, 한국생산성본부의 「상장기업 부가가치 분석」database,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 자료, 표본 기업의 감사보고서를 활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구성을 서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선행연구와 가설설정을 제시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 등록 기업들이 KOSDAQ 등록 기업에 비해 기업의 존속기간이 오래된 것으로, 매출액이 높으며, 제품사용 수가 적으며, ERP 도입 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KOSPI 등록 기업들은 주로 i-cube ERP를 KOSDAQ 등록 기업들은 주로 i-u ERP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KOSPI 등록 기업이 KOSDAQ 등록 기업에 비해 1인당 매출액, 1인당 인건비, 자본집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VA는 KOSPI 등록 기업이 KOSDAQ 등록 기업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둘째, 회계기수가 오래된 기업일수록 매출액은 높은 것으로, ERP 등 제품사용 수는 적은 것으로 ERP 도입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계기수가 긴 기업일수록 i-cube ERP를, 회계기수가 짧은 기업일수록 주로 i-u ERP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계기수가 오래된 기업일수록 1인당 영업이익, 1인당 순이익은 낮게 나타났으며, 1인당 매출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VA는 회계기수가 오래된 기업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매출액이 높은 기업들이 제조업 ERP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1인당 영업이익과 1인당 순이익, 1인당 매출액, 자본집약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매출액이 높은 기업들이 EVA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조업 ERP를 사용하는 기업들일수록 APO software와 내부회계 software를 많이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1인당 순이익은 높은 것으로, 1인당 인건비와 자본집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ERP 도입기간이 오래된 기업일수록 ERP 등 사용제품 수가 많은 것으로, i-u ERP 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APO software와 IFRS software, 내부회계 software를 많이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ERP 등 제품을 사용하는 기업일수록 자본집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ERP 도입기간이 오래된 기업일수록 i-u ERP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도입기간이 오래된 기업일수록 1인당 영업이익은 높게, 1인당 매출액과 자본집약도가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i-u ERP 제품을 사용하는 기업일수록 IFRS software를 많이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i-u ERP 제품을 사용하는 기업일수록 1인당 매출액과 자본집약도가 낮게 나타났다.
여덟째, APO software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일수록 IFRS software와 내부회계 software를 많이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FRS software를 많이 사용하는 기업일수록 내부회계 software를 많이 연계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 연구의 회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당 영업이익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회귀분석 결과는 ERP 도입 전체 기업과 1년 이상인 기업에서는 독립변수 중 MARK, ACPR, SIZE, APO가 종속변수인 1인당 영업이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년 이상인 기업에서는 독립변수 중 MARK, ACPR, SIZE가 종속변수인 1인당 영업이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1인당 영업이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당 순이익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회귀분석 결과는 ERP 도입 전체 기업과 1년 이상, 2년 이상인 기업 모두 독립변수 중 MARK, ACPR, SIZE, UsgNB, TYPE, APO가 종속변수인 1인당 순이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1인당 순이익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당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회귀분석 결과는 ERP 도입 전체 기업, 1년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한 독립변수 중 MARK, SIZE, ERPm, UsgNB, InAc가 2년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는 MARK, ACPR, SIZE, UsgNB, TYPE, APO가 종속변수인 1인당 매출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1인당 매출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인당 인건비를 종속변수로 측정한 회귀분석 결과는 ERP 도입 전체 기업, 1년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한 독립변수 중 MARK, ERPm, InAc가 2년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는 ERPm이 종속변수인 1인당 인건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1인당 인건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본집약도를 종속변수로 측정한 회귀분석 결과는 ERP 도입 전체 기업과 1년 이상, 2년 이상인 기업 모두 MARK, SIZE, ERPm, UsgNB, IFRS, InAc가 종속변수인 자본집약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자본집약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EVA를 종속변수로 측정한 회귀분석 결과는 ERP 도입 전체 기업, 1년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한 독립변수 중 SIZE, ERPm이 2년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는 MARK, SIZE가 종속변수인 EVA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1인당 인건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type and implementation period of ERP on the firm's productivity. To achieve this purpose, 151 companies using Duzon ERP products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effects using significance level p<0.1 (90%).
For the study, Data made a full use of Duzon's internal data, NICE's KIS-VALUE data, KPC's database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DART.
Composi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The first chapter described backgrounds of study, objects of study and methods of study. The second chapter described theoretical backgrounds. So, the third chapter described precedent studies and hypothesis set-up. The fourth chapter empirically analysed and interpreted the meaning. Finally, the fifth chapter suggested conclusion of the study, limitation of the study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First, The sales of KOSPI companies were more than KOSDAQ companies, the product using number of KOSPI companies were less than KOSDAQ companies and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KOSPI companies were shorter than KOSDAQ companies. And KOSPI companies used mainly i-cube ERP, but KOSDAQ companies used mainly i-u ERP. KOSPI companies were higher the per sales, the per wage and capital intensity than KOSDAQ.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longer period of ERP implementation, the higher per operating income, but the lower per sales and capital intensity.
Third, the i-u ERP well-used companies were related with IFRS software. And the i-u ERP well-used companies had lower the per sales and capital intensity.
Finally, the APO software and IFRS software well-used companies were related with internal accounting software.
The results and interpretation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of this study are followings :
First, the result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 operating income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MARK, ACPR, SIZE and APO.
Second, the result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 net income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MARK, ACPR, SIZE, UsgNB, TYPE and APO.
Third, the result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al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MARK, ACPR, SIZE, ERPm, UsgNB, TYPE, InAc and APO.
Fourth, the result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 wage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MARK, ERPm and InAc.
Fifth, the result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apital intensity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MARK, SIZE, ERPm, UsgNB, IFRS and InAc.
sixth, the result of multi varian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VA was significantly affected on the SIZE and ERPm.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 of Type and Implementation Period
Alternative Author(s)
Jo, Yu Geun
Department
일반대학원 회계학과
Advisor
조승제
Awarded Date
2014-02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방법 및 구성 ………………………………………………………… 3

제2장 이론적 배경 …………………………………………………………… 4
제1절 ERP 시스템의 도입 효과 ……………………………………………… 6
제2절 ERP 시스템의 발전 및 특징 …………………………………………… 12
1. ERP 시스템의 발전단계 ……………………………………………………… 12
2. ERP 시스템의 특징 …………………………………………………………… 14
제3절 ERP 시장 ………………………………………………………………… 17
1. 개요 …………………………………………………………………………… 17
2. 국내외 시장 규모 및 전망…………………………………………………… 18
3. 국내 시장 및 기술동향 ……………………………………………………… 21
4. 주요 기업 동향 ……………………………………………………………… 24
제4절 경제적 부가가치(EVA) …………………………………………………… 25
1. EVA의 의의…………………………………………………………………… 25
2. EVA의 구성 및 측정방법 …………………………………………………… 26

제3장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 29
제1절 선행연구 …………………………………………………………………… 29
1. ERP에 관한 선행연구 ………………………………………………………… 30
2. 경제적 부가가치에 관한 선행연구…………………………………………… 35
제2절 가설설정 …………………………………………………………………… 37

제4장 실증분석 ………………………………………………………………… 40
제1절 연구모형 및 변수정의 ………………………………………………… 40
1. 연구모형 ……………………………………………………………………… 40
2. 변수정의 ……………………………………………………………………… 48
3. 표본선정 ……………………………………………………………………… 54
제2절 실증분석 및 결과해석 ………………………………………………… 55
1. 기술통계 ……………………………………………………………………… 55
2. 상관관계 분석 및 해석 ……………………………………………………… 57
3. 회귀 분석 결과 및 해석……………………………………………………… 68

제5장 결론 ……………………………………………………………………… 92

참고문헌 ………………………………………………………………………… 95
Degree
Doctor
Publisher
조선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유근. (2013). ERP유형과 도입기간이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ype
Dissertation
URI
https://oak.chosun.ac.kr/handle/2020.oak/11853
http://chosun.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264145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4. Theses(Ph.D)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Open
  • Embargo2014-02-26
Files in This Item: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